2025/01 33

2021. 12. 29 윤석열 캠프의 '부정선거 관련 관리대책' 전문 [프리진뉴스]

부정선거 관련 관리대책2021. 12. 291. 제안배경 □ 민주주의의 기본이 되는 신뢰 사회 붕괴 조짐 ○ 여야갈등, 정쟁에도 불구하고 자유민주사회의 버팀목은 선거를 통한 국민의 민의를 반영하는 것임 ○ 415 국회의원 선거 과정에서 제기된 부정 의혹을 투명하게 검증하지 못하고 검증 지연 → 대선 부정선거에 대한 우려가 심화되고, 자유민주주의 붕괴 우려 ○ 309 대통령 선거에서도 선거부정으로 여야갈등이 재현될 것으로 보임 2. 현황과 문제점 □ 415 부정선거 의혹에 대한 미검증 ○ 415 국회의원 선거 당시, 부정선거에 대한 의심 정황이 있으나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음 ○ 415 부정선거 의혹의 핵심은 사전투표 결과의 바꿔치기(우체국과 선거관리위원회의 합작으로 의심), 자동 개표기 부정 등 ○ ..

펌사위 2025.01.25

이재명 당대표 2025 신년 기자회견 전문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당대표, 기자회견 □ 일시 : 2025년 1월 23일(목) 오전 10시□ 장소 : 국회 본청 당대표회의실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대한민국을 길고 깊은 어둠으로 덮으려 했던 12.3 내란의 그림자는 아직 걷히지 않았습니다. 정권의 친위군사쿠데타가 1차 내란이라면, 극단주의 세력의 조직적 폭동은 2차 내란입니다. 민생과 경제가 주저앉고, 평화와 민주주의가 파괴되어도 이에 전혀 아랑곳도 하지 않던 정권은 내란도 모자라, 나라를 끝없는 혼란의 늪으로 몰아넣었습니다.   그러나 우리의 국민은 위대했습니다. 무도한 폭력에 맨손으로 맞서고, 색색의 응원봉과 경쾌한 떼창으로 역사의 퇴행을 막아냈습니다. 단 한 방울의 피 흘림 없이, 세계사에 없던 평화로운 과정을 거쳐 주권을 거역한 권력자를 끌어내는 빛의 혁명을..

펌사위 2025.01.24

친일파는 반민특위를 어떻게 무력화하고 어떻게 그들의 세상을 이어갔는가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1950년 8월, 청년이 죽었다. 반민특위는 일제 강점기 34년 11개월 동안 반민족 행위를 일삼았던 친일파들을 처단하기 위해 1948년에 만들어진 '반민족행위자특별조사위원회'의 약칭이다. 48년 당시 제헌 국회는 친일파 처벌법 제정을 서둘렀고 '반민족행위자처벌법 기초특별위원회'를 구성해 법안 초안을 만들었는데, 이에 김웅진, 김상돈, 노일환, 김명동 등 소장파 의원들이 적극적이었다. 반면 김준연 등 한민당 계열 의원들은 '거리에서 우는 사람은 배고프고 옷이 없어 우는 것이지 친일파들 때문에 우는 것이 아니'라며 친일청산에 미적거리는 태도를 취했다. 정부도 비슷한 입장이었으나, 국회가 이미 반민법을 103대 6표로 통과시킨 뒤라 어쩔 수 없이 이를 9월 22일 대한민국 법령 제3호로 공포했다. 반민법이 ..

펌사위 2025.01.18